혈액 속에는 대표 지방성분은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이 있다. 최근에 HDL콜레스테롤에 관심이 많아지면서 바로 이것이 적을 경우에 나타나는 문제점이 제기되어버려 LDL콜레스테롤,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이 과도하게 되거나 또는 HDL콜레스테롤이 적은 상태를 이상지질혈증이라고 부른다. 여기서는 이상지질혈증 관리는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아보고 따라해보자.

 

이상지질혈증 증상은 혈액속에서 각각 세포에 지방을 운반하기 위한 지방, 단백질 대사의 이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써 HDL콜레스테롤은 혈액의 순환을 돕는 콜레스테롤로 40mg/dl 이하 떨어지고 나서는 이상지질혈증, 총콜레스테롤은 기준 230mg/dl 이상이면 이상지질혈증, LDL콜레스테롤은 혈관에 달라붙어 막는 콜레스테롤인데 150mg/dl 이상 올라가면 이상지질혈증, 중성지방은 200mg/dl 이상 올라가면 이상지질혈증이라고 한다. 이상지질혈증 관리는 식이요법과 생활요법으로 관리를 하도록 한다.

 

일반요법을 통하여 이상지질혈증 증상 개선하기- 이상지질혈증 관리의 일반요법은 금연을 하고 술은 적당히 해야 될 방법이다. LDL-콜레스테롤은 운동량에 비례해서 감소하게 될 수 있을데 HDL-콜레스테롤은 최소 매주 10마일 이상 조깅처럼 운동량이 많은 운동에 의해 상승한다. 운동량이 적어도 중성지방치는 쉽게 감소한다고 한다.

 

식이요법을 통한 이상지질혈증 관리- 과체중에 있는사람들은 칼로리의 총 섭취량을 줄이고 나서 이상체중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 식이요법이다. 포화지방산이 들어있는 육류는 적게 섭취하고 콜레스테롤이 많이 함유되어서 있는 버터나 계란노른자, 오징어, 동물 등의 간 등은 피하고 혈중 중성지방이 높으면 음주량을 많이 줄이도록 해야한다. 섬유소의 비수용성은 변비의 증상을 호전시키고 지질 변화는 없고, 수용성은 콜레스테롤을 약간 저하시켜 주면 된다. 그러나 저칼로리의 식이를 계속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면 된다.

 

이상지질혈증 관리에서 중요한 약물요법- 일반요법, 식이요법을 3~6개월동안 시행해도 LDL-콜레스테롤이 목표치가 되게 도달하지 못하였다면 약물요법을 해야 한다. 그린 후에 갑상선기능저하증, 신증후군, 만성신질환, 음주, 당뇨병, 베타차단제, 이뇨제 등 고지혈증을 유발해야 하는 것이 있는지 확인 하고 2차적인 원인이게 되거나 질환이 있다면 개선하고 치료 되어야 한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