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이 오면 집집마다 준비하게 되는 것이있죠. 당장 김장준비입니다. 김장할때 배추를 주로 구매를 해지게 될 수 있다는데요. 혹시나 땅이 있고 여력이 되는 것이다면 직접 김장배추를 키워보는것도 좋지 않을까 싶네요.
-김장배추 재배, 씨와 묘종
김장배추를 직접 재배하겠다고 마음을 먹었다면 묘종이나 씨를 구입해야겠죠. 보통의 경우 육묘사에서 묘종을 구입하게 될 수 있는데요. 정확하도록 어떤 품종인지 모른채 키웠다가 나중에 원해야 하는 품종이 아닐 수도 있어요. 시간이 더욱 걸리고 나서 수고스럽더라도 직접 씨를 구해서 하는 것도 좋겠죠.
-김장배추 재배, 종자의 선택
종자의 선택도 역시 중요합니다. 속노랑배추, 일반배추 보통은 이 둘중에서 하기게 되는 하는데요. 불암3호 황성배추, 노랑김장배추는 시중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고 있다는 품종이며, 고소한 맛이 장점이죠. 그러나 쉽게 물러져 저장성은 좀 떨어진다는 단점도 있다고 합니다. 장미배추, 조생미호배추는 고소한 맛은 좀 떨어지지만 저장성우 우수하다고 해야 합니다. 어떤 배추를 선택할지는 이런 특성을 고려해서 자신에게 맞게 선택하면 될 것 같습니다.
-김장배추 재배, 밑거름
이제 종자를 선택했으면 직접 배추를 재배하기 위해 나서야겠죠. 배추의 재배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조기생육이 왕성해야 되는 것이다는 것인 것입니다. 그러한 이유로 밑거름을 잘 줘야 되고요. 유기질비료, 퇴비를 충분히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연퇴지, 유기질 비료를 많이 주되 화학비료는 줄이면 조금 더 고소한 맛이 나는 배추를 재배할 수 있기도 하며 배추가 병충해에 강해진다고 하도록 합니다.
화학비료를 너무 많이 사용해서 키운 배추는 지린맛과 같은 케이스가 많을 수도 있다고 하도록 합니다. 화학비료를 사용하게 될 경우 질소질이 덜한 복합비료로 토양의 비옥도에 맞춰 가감하여 사용하도록 하도록 합니다.
-김장배추 재배, 이랑 만들기
배추 재배에 있어서 중요한 것 중 하나가 당장 이랑과 이랑의 간격인 것입니다. 한줄로 심을때는 그 넓이는 75~85cm 정도면 적당하고 두줄로 심을때는 120~130cm 정도가 적당합니다. 세로로 포기간의 거리는 35~40cm가 적당합니다.
이랑은 남북쪽으로 조성해야 하며 통풍이 잘 되야 하도록 합니다. 포기간 재식 거리는 40cm 정도가 적당하며 이랑의 간격이 좁을때는 더더욱 멀리 띄우고, 이랑의 간격이 넓을경우 약간 좁게 심어도 큰 문제는 없을 것입니다고 합니다.
-김장배추 재배, 병충해 방제
배추 재배에 있어서 가장 골치거리이도록 하면서 중요한 것이 바로 병충해 방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배추 묘종을 이식한 한 뒤에는 배추벼룩잎벌레와 밤에 올라와 줄기를 잘라먹는 거세미나방애벌레, 줄기와 잎을 중간부터 잘라먹는 귀뚜라미벌레를 조심해야 합니다. 살충제를 적당량 살포하고, 토양살충제도 살짝 정식후 살포합니다. 귀뚜라미 피해는 농약사에 판매하는 것으로 막을 수 있겨나게 되는 그러나 쉽지 않다고 하는군요.
-김장배추 재배, 수확
병충해를 잘 견디고 나면 배추를 수확해지게 되죠. 배추는 생육기간이 70일 정도로 9월상순에 정식한 이유라면 11월 중순쯤이면 수확철이 됩니다. 정식과 수확의 시기는 지역마다 약간만씩 다릅니다. 중부지방의 적겨나게 되는 11월말~12월초가 수확하기에 적기이며, 북쪽이나 산간지방동시에 추위가 일찍 찾아오는 지역은 60일 정도 결구가 될 수 있을 종자를 선택하도록 되며, 남쪽지방보도 아주 심기를 일찍 마쳐 어는 시기에 맞게 날짜를 역산해 맞춰야 하도록 합니다.
노지에서는 수확을 늦추기도 하는데요. 영하 3도 이하로 내려가게 되면 배추잎이 얼게 될 수 있을데, 이때는 배추잎이 다시 녹기를 기다렸다가 원래 상태로 회복이 되면 천천히 수확하게 됩니다.
최근댓글